삼켜진 초록
소설 「삼켜진 초록」(2022)은 전작 「그린골드 작업실」의 후속작으로 미대를 졸업한 ‘지은’이 독립하면서 집과 작업실을 임대하는 과정의 어려움과 젠트리피케이션을 체감한다. ‘환경오염’을 주제로 그림을 그리는 ‘지은’의 자기기만과 모순, 30대 미술학원 원장이 된 ‘정은’과의 갈등을 다룬다.
「삼켜진 초록」 속 지은은 서울에서 나고 자라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학교 선배의 정은의 미술학원에 취직한다. 지은의 반 지하 첫 자취방은 장마에 잠기고 독립과 경기도라는 낯선 생활 반경의 변화에 어렵게 적응하고 있다. 소설 속 미술학원 원장인 정은은 서른 네 살이지만 '산뜻한' 느낌을 주는 선배였다. 사람에게 '산뜻'하다고 표현하는 지은은 정은을 믿고 부모님 집에서 한 시간 반 거리를 떨어져 독립했지만 원장이 된 정은은 집을 이사하려고 부동산을 다니느라 수업에 지각하는 지은을 이해하지 못 하고 불만을 갖는다.
“올해 두 명의 친구가 자살했다.” 로 시작하는 소설은 20대 자살률을 미디어를 통해 반복적으로 접해 무감각해진 화자의 둔화된 감수성과 관망하는 태도를 보여 준다. 열아홉 살에서 스무세 살 사이에 생긴다는 '예술가병'은 만 스물두살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완치가 돼 서로 자기는 '예술가병' 없었다고 시치미를 때지만 가끔 이 시기에 갑자기 죽는 친구들은 아마 '예술가병' 때문에 죽지 않았을까 소설 속 화자는 추측한다. 「삼켜진 초록」은 돌고래를 후원하고 텀블러를 사용하고 바다 오염에 눈물 흘리며 푸른 바다를 그리는 지은이 개인이 할 수 있는 환경보호의 한계를 깨닫고 자본주의 사회에 첫 발의 내딛는 장애물들에 무기력해지는 심경을 담는다. 정은은 자신의 미술학원의 성과에 과한 자부심을 갖는다.
'삼켜진 초록'은 날선 자기 입장의 대변을 조롱한다.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기의 과한 통제를 합리화하고 자신의 잘못과 상황을 과하게 비관한다.